중국의 소수 민족

 

 

1. 漢族(한족)은 소수민족은 아니지만...

 한족은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약 12억 6천만 명으로 전국인구 비중의 91.99%였다.

 한족인구의 총적인 추세는 성장하나 전국인구 비율은 감소 추세이다.

 인구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한족은 황하유역으로부터 발원하였으며 이후 점차적으로 전국각지로 분포되었다.

 주요 거주지역은 황하주강 장강의 3대 유역 및 송요평원이다.

 장기적인 역사발전중 다른 소수민족들과 광범위한 정치, 경제, 문화교류를 진행하였으며 여러 가지 방면에서 소수민족보다 발전하였으며 중국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다.

 중국의 5천년 역사를 보면 원조, 청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족이 집권하였다.

 한족은 농후한 도덕관념이 있다.

 서로 돕고 단결하여 이웃끼리 화목하게지내는 것을 중시한다.

 한족의 거주방식은 보통 3대가 한집에서 사는데 선대는 후대를 사랑하고 후대는 선대를 존경한다. 한족의 집은 주로 기와집이며 도시에서는 보편적으로 철근콘크리터로 되었으며 대다수는 고층으로 변한다.

 세계적으로 분포된 식당을 보면 한족은 풍부한 음식문화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족의 음식은 신선하고 맛있으며 지역에 따라 맛이 틀린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요리로는 사천, 광동, 산동요리등이 있다.

 한족의 혼인제도는 일부일처제이다. 한족의 결혼은 자유연애로 이전과 같이 부모가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한족 가정은 남자는 밭갈이를 하고 여자는 천을 짜는 소농경제에서 소위 말하는 "남자주외, 여자주내"에서 남존여비사상이 존재하였다. 현재는 부녀의 사회직위가 높아가고 경제적으로 독립함에 따라 부부는 가정에서의 지위가 평등한 추세로 발전하였다.

 

 

2. 壯族(장족)

 장족은 인구 약 1,600만 명으로 중국에서 한족 다음으로 많은 인구를 가진 민족이다.

 장족의 주거주지는 광서 장족자치구이며 92%의 장족이 살고 있다.

 장족은 고대에 찬란한 문화를 창조하였으며 노래를 즐겨부르는 풍습이 있다.

 장족은 '마란'이라는 주택에 거주하기 좋아한다. 이런 마란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어떤 지방에는 대나무로 짓는다. 마란건축은 지면으로부터 상당히 높은 받침대가 있고 그 위에 집을 짓는다.윗층은 사람이 살고 아랫층은 가축을 기르거나 물건을 저장하는 창고로 활용한다. 이런 집은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하며 또한 햇빛이 충분하다. 장족의 소박하고 자연적인 신미는 먼저 그들의 예절에서 볼 수 있다.

 장족은 열성적이며 물건을 받을 때 매우 예절을 중시한다. 장족은 전신에 금은 등의 장식을 하는 것이 아주 드물며 짙게 화장도 하지 않는다.

 

 

3. 回族(회족)

 회족은 인구 약 900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영하 회족자치구와 감숙이나 분포지역은 전국각지이며 대분산 소집중된 성라기의 멋진 구조로 되었다.

 회족은 소박하고, 너그럽고 단결력이 강한 민족이다.

 회족은 한족과 오랫동안 같이 살았기 때문에 회족의 복장은 한족과 비슷하다.

 '유향'이라는 회족의 전통 음식이 있는데 밀가루나 찹쌀가루를 사용하여 식용유로 튀겨서 만든다. 명절이나 결혼식이 있을 때 유향을 주고 받으며 서로의 인정을 나눈다.

 회족은 돼지를 기르지 않고 돼지고기도 먹지 않는다.

 회족의 혼인관념은 한족과 비교하여 특별한 것은 없으나 독신을 반대한다.서북지역의 회족의 결혼연은 매우 풍성하고 민족적 특색이 있다. 회족의 결혼연은 술과 담배로 초대하지 않고 즉석에서 밥먹고 헤어지며 매우 간단하다. 회족은 과부가 수절하는 것을 주장하지 않고 재가를 허용한다.

 

 

4. 위글(Uighur)

 인구 약 750만 명으로 주거주지는 신강위글족자치구이다.

 위글족은 열정적이고 미를 추구하며 선명한 민족 심미경향을 지니고 있다.

 위글족은 또한 "북을 들면 춤추고 싶고 기타를 치면 노래하고 싶다" 이것은 위글족의 심미적인 예술적 기질을 잘 표현하고 있다.

 위글족은 주로 흙을 사용하여 집을 지으며 지붕을 평평하게 하여 지붕에 독특한 창문 혹은 지붕화원을 만든다.

 위글족은 평소 선명하고 우아한 옷차림을 즐긴다.

 위글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위글족은 사람을 대하고 선물을 받을때 예절에 주의하며 언어행실의 아름다움을 매우 중요시 한다.

 가무는 위글족의 천성이다.남녀노소 모두 즐긴다.

 위글족은 장기적인 역사발전과정에서 열성적이고 명랑하고 활발한 민족기질을 형성하였다.

 

 

5. 彛族(이족 = Yi 족)

인구분포

 윈난성에서 가장 인구수가 많은 소수민족으로 약 446만 명이 살고 있다. 이족은 중국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데 전체 인구수는 약 660만 명이다.

 

역 사

 이족은 유구한 역사를 지닌 민족으로 그 기원은 고대 서남북부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던 구챵인(古羌人;gu qiang ren)과 관련있는 쿤밍인(昆明人;kun ming ren)이다.

 

언어와 문자

 고유한 민족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족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 장면어족(藏緬語族), 이어지(Yi語支)에 속하며, 지역별로 구별되는 6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6개의 방언 사이에는 차이가 크며, 서로 의사소통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다. 또한 약 1000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일종의 표의(表意)문자형식의 고유문자를 가지고 있다.

 

전통복장

 이족은 검은색을 숭상하기 때문에 검은 옷을 즐겨 입는다. 이족만큼 전통적인 민족복장이 다양한 소수민족은 없다. 100여 종류에 이르는 전통복장은 다양한 스타일과 무늬, 공예품 장식, 색상으로 연출된다.

 

종 교

 이족은 호랑이를 숭상하고 무사의 용기를 강조하며 술 마시기를 좋아한다. 불과 호랑이는 이족 원시종교의 중심 개념이다.

 

축 제

 훠바지에(火把節, 횃불축제)와 챠화지에(揷花節, 꽃축제) 때에는 전통악기인 취주악기인 루성(Lu Sheng)과 삼현악기가 연주되고 전통무용이 재현된다. 날이 밝을 때까지 밤새워 씨름, 소싸움, 꽃장식과 함께 노래하고 춤을 추며 담소를 한다.

 

주 택

 이족은 농경 위주의 민족으로 대부분 산지나 계곡 근처의 평지에 거주하고 있는 관계로 다양한 가옥형태을 가지고 있다. 그중 투쟝팡(土掌房)은 이족의 전통가옥으로서 추쑝(楚雄)이족자치주와 윈난성 남부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투쟝팡(土掌房)의 1층은 소나 돼지를 가두는 우리로 사용하고 2층은 거주공간이며 지붕은 발코니와 건조실로 사용된다.

 

주요 거주지역과 교통편

o 츄숑(楚雄) 이족지역

- 버스로 츄숑(楚雄), 뤼펑(祿豊), 우딩(武定), 난화(南華), 위엔모우(元謀)도착 (3-8시간 소요)

o 홍허(紅河)주 이족지역

- 버스로 꺼지우(個舊), 카이위엔(開遠), 위엔양(元陽)에 도착 (4-14시간 소요)

o 위시(玉溪) 이족지역

- 버스로 위시(玉溪), 신핑(新平), 위엔쟝(元江)에 도착 (3-8시간 소요)

o 쓰마오(思茅) 이족지역

- 버스로 징구(景谷), 푸얼(普Er), 쟝쳥(江城)에 도착 (8-16시간 소요)

 

 

6. 苗族(묘족)

 인구 750만 명으로 주로 귀주성과 호남성에 거주한다.

 묘족은 그들이 입는 옷색깔에 따라 홍묘,흑묘,백묘,청묘,화묘 5류로 나눈다.

 묘족은 불절불굴의 영웅기개를 갖고 있으며 그들의 생활에 잘 반영되어 나타난다.

 그것은 즉 영웅,우아,이상, 인내,굳셈을 그들의 심미관으로 삼는다.

 묘족은 예술을 애호하며 시가를 좋아한다. 묘족의 생활중 "요마랑"이라는 남녀가 자유연애하는 사교활동이 있다.

 묘족의 옷차림을 케쥬얼과 정장으로 크게 나눌 때 케쥬얼은 주로 남, 녹, 청등의 색깔의 옷이며 악세사리는 차가운 색깔로 한다. 정장은 우아하고 화려하게 홍색, 황색 등으로 한다.

 묘족은 "弔脚樓(조각루)"는 그들의 전통 가옥 형태로 보통 3층으로 1층에는 가축을 기르고 2층은 사람이 거주하며 3층은 창고이다. 조각루 건축시 못을 사용하지 않으며 조형이 잘 되어 있다.

 

 

7. 滿洲族(만주족)

 인구 약 990만 명으로 요녕성과 흑룡강성에 주로 거주한다.

 만주족은 사냥을 즐기며 곰, 수달, 사슴 등을 사냥하며 물고기도 잡아가며 생활한다.

 현재에도 유행하는 치파오는 만주족 고대의 치파오에서 온 것이다.

 남자의 치파오는 남색, 회색, 청색이며 여자의 것은 주로 백색이다.

 만주족은 머리 장식에 상당히 신경을 쓴다.

 만주족의 식품은 다종 다양하며 풍미가 독특하다.

 만주족은 찰떡을 즐겨 먹으며 신채는 만주족이 가장 즐겨먹는 야채이다.

 만주족의 전통 정원은 그들의 민족특색이 깔려있는 건물과 장식이 있다. 만주족은 실내장식에 매우 신경을 쓴다.

 만주족은 예절을 중시하며 노인을 존경한다. 만주족은 개를 좋아하며 때리지도 죽이지도 않는다. 그리고 개고기도 먹지 않는다.

 만주족은 어린 아이들을 교육시킬 때 밝고 소박하게 그리고 사냥하는 민족의 거친 풍격을 함께 갖추도록 한다.

 

 

8. 藏族(장족)

 장족은 인구 약 470만 명으로 주거주지는 서장 자치구와 사천성등지이다.

 장족은 서장고원의 개척자이며 중국의 통일적이고 하나의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민족이다.

 고원의 대자연의 색채와 조화를 이룬 장족 특유의 용감하고 열성적인 감각을 키웠다. 장족은 불교를 신앙하는 그들은 속칭 '라마교'라 부른다. 라마교의 건축은 독특한 점을 갖고 있다. 즉 산을 따라 사묘를 지었으며 아래로부터 위로 종형으로 건축을 지었으며 중심 사찰은 중간에 제일 높게 솟아 아래로 굽어본다.

 장족은 박대하고 웅위롭고 숭고한 미를 숭상한다. 숭고함은 그들의 정신적 영혼이며 심미의식의 특징이다.

 장족의 가옥은 지붕위 문턱 창살에 청색으로 만든 불상과 경문각석이 놓여있다.

 장족의 복장 특색은 긴 소매 넓은 허리 큰 깃이다. 직선적이고 넓은 단은 색채대비가 강렬하다.

 

 

9. 蒙古族(몽고족)

 인구 약 500만 명으로 주거주지는 내몽고와 요녕성이다.

 몽고족은 건장하며 거칠기로 이름났다. 즉 그들의 생활 방식과 민족풍습에는 웅건한 기세가 있고 문학양식은 금가철망식의 끈질김이 있다.

 고대 몽고족은 물과 풀을 따라 생활하는 유목민족이며 나무와 모전으로 둘러싸인 몽고포 안에서 생활하였다.

 이런 원형의 활동장막은 바람과 눈을 막고 움직이기 편리하여 유목생활에 특히 유용하였다. 몽고족은 색깔이 찬란한 몽고치파오를 즐겨 입으며 여기에 황녹색의 비단띠를 두르기를 좋아한다.

 그들의 음식은 주로 양고기와 버터를 먹고 쌀가루를 부식으로 하며, 도시에서는 양식을 위주로 한다.그들은 몽고 특유의 우유차와 술을 자주 마신다.

 몽고족은 백색을 민족 심미의식의 색조로 한다. 흑색은 몽고족이 꺼리는 색깔이다.

 몽고족의 춤예술은 웅위롭고 나는 동작을 하며 그 자태는 유연하고 우아하다.

 "那達幕(나달막)"는 오락이라는 뜻인데 몽고족의 굉장한 명절이다. 매년 한번씩 6월에서 9월 사이에 진행한다. 여기에는 씨름, 활쏘기, 말타기 등의 경기가 있다.

 

 

10. 土家族(토가족)

 인구 약 600만 명으로 주거주지는 호남과 호북이다.

 토가족은 그들의 독특한 언어가 있으나 문자는 없다.

 토가족은 무술을 즐긴다. 이런 무술을 즐기는 정신과 강인한 정신은 그들의 민족역사에 깊숙히 뿌리 박고 있다.

 토가족은 춤을 즐기며 형식이 다양하여 손춤, 발춤, 전무 등이 있다.

 토가족은 자유연애를 하며 청춘남녀 두사람만 좋으면 정수로 차를 함께 애정가요를 부르며 천천히 마신다.

 

 

 

11. 布依族(포의족)

 인구 260만 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귀주성 금남 포의 주자치주와 안순지구의 포이족자치현이다.

 부이족은 불교와 기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漢臧언어계에 속한다.

 수려한 자연풍경과 풍부한 농산물로 오랫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은 포의족을 미를 추구하는 너그롭고 선량한 민족으로 만들었다. 포의족의 가옥은 돌로 만들어졌으며 1층은 가축을 기르고 2층은 사람이 거주한다.

 포이족은 염색기술이 뛰어나며 부녀자들은 치장을 하는데 신경을 쓴다. 포이족의 옷차림은 소박하고 청순하다.

 포이족은 그 됨됨이가 성실하고 대범하다.

 포이족은 술을 권할 때 예의를 중시하며 진문술, 교제술, 격당술, 전전술, 천잔술, 송객술 등이 있다.

 포의족은 공공복리를 위해 봉사하는 선량한 전통정신이 있다.

 

 

 

12. 朝鮮族(조선족)

 인구 약 200만 명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길림성 연변족자치주 장백산 조선족자치현 흑룡강 요녕등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다.

 조선족은 유구한 역사의 민족이며 문화가 발달하고 노래 잘 하고 춤 잘 추는 민족으로 불리운다.

 조선족은 백의민족이며 백색을 선호한다.

 어른을 존경하고 어린이를 사랑하는 것은 조선족의 오래된 전통이다. 그들은 예절교육을 중시한다.

 조선족은 대자연의 물과 꽃을 좋아한다. 널뛰기와 그네타기는 그들 특유의 놀이문화이다.

 조선족은 아름다운 언어구사와 자연스런 교류를 갈망하며 다른 민족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일반어와 경어가 있다.

 

 

13. 동()

민족원류

 동족의 총인구는 2022년 현재 260만 명으로 귀주성에 140여만 명, 호남성에 75만 명, 광서자치구에 30만 명, 그리고 호북성에 5만여 명이 분포해 있으며 청 광서 원년(淸光緖元年; 1875년) 귀주성 천주(天柱)에서 베트남 선광성(宣光省)으로 피난해 가 7대째 뿌리를 내리고 사는 동족도 있다. 그중 귀주성 치엔동남묘족동족자치주(黔東南苗族 族自治州)에는 106.4만 명이 살고 있어 가장 집중되어 있다. 귀주성의 치엔동남(黔東南)과 호남성은 이미 춘추전국시대(B.C.770~B.C.221)부터 동족의 조상이 자리잡고 살아온 곳이다. 귀주성 동남부 묘령산맥의 주봉인 뢰공산(雷公山; 해발 2,179m)을 중심으로 광활하게 골 깊은 산과 청수강(淸水江)과 도류강(都柳江)가에 분포해 있어 일부는 수상민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역사상 동료(僚), 동만(蠻), 동정(丁), 동인(人), 동민(民), 동묘(苗), 만료(蠻僚), 동가(家), 동가묘(家苗), 동인(人), 계지민(溪之民)등 다양하게 불렸고 자칭 또한 'Kaml', 'gan(干)' 또는 'geng(更)'등 여러 가지인데 백월족(百越族)의 낙월(駱越)계통으로 송나라시대에 이미 하나의 민족을 이루어 천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 백월족(百越族)은 굉장히 광범위하게 나눠지는데 월(越), 낙월(駱越), 오월( 越), 민월( 越), 동월(東越), 양월(揚越), 산월(山越), 남월(南越), 서월(西越), 월상(越裳), 단국( 國), 등월(騰越), 디엔월( 越), 부어국( 國), 야랑(夜郎)등으로 백월(百越)은 양자강 이남의 대부분의 소수민족을 이룬다. 진나라 이후 강력한 중앙집권적 봉건왕조가 일어나 남쪽지역을 정벌해 일부는 한족과 융화하지만 일부는 3세기 초인 위, 진 시대에 와 더 깊은 산 속으로 들어가 생활하게 된다.

 동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어, 고대의 루어위에(駱越)가 발전해 내려온 토착민족이라고도 하고, 송대의 걸링( 伶; 또는 佶伶)에서 나누어졌다고도 한다.  '리핑후지(黎平府志)'에 의하면 명 홍무(洪武)때 쟝시성 지안후 타이허현(吉安府太和縣)의 3만여 명의 군민(軍民)이 광시자치구 우저우(梧州), 류저우(柳州)를 거쳐 귀주로 들어 와 주둔하면서 현지의 동족과 결혼하며 동화되었다고 한다. 또한 동정호(洞庭湖)의 평원지대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동고(銅鼓), 고루(鼓樓), 간란(干蘭)식 건축 양식, 단발문신(斷髮文身), 코로 음료수를 마시며, 남녀가 함께 목욕하는 등의 풍속이 고대의 위에인(越人), 료인(僚人)등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광악(何光岳)의《바이위에원류사(百越源流史)》에서는 하대(夏代) 이전에 칭하이성 따통(大通)하류 유역에 거주하던 링인(令人; 또는 令支)이 황허 하류로 내려와 대부분은 화샤족(華夏族)을 이루고, 일부가 남진해 후난, 꾸이저우, 광시 등지에서 동족을 형성했다고 하나 아직 정론은 없다.

 언어와 어법에 있어서도 쭈앙족(壯族), 부이족(布依族), 따이족( 族), 리족(黎族)등과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는데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살아오는 등 모두 형제의 민족이다.

 

언 어

 동어는 한 장어계 장동어족 동수어지(漢藏語係壯 語族水語支)에 속한다. 장동어(壯語)의 어원은 고대월어(古代越語)로 요어(僚語)를 거쳐 현재의 동어로 이어져 왔다. 동족의 언어 사용현황은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한어는 거의 못 알아듣고 자기 민족언어만 사용하는 부류인 대부분의 노인층과 부녀자그룹, 둘째는 동어를 알아듣기는 하지만 말은 못하는 부류, 셋째는 지식수준이 높은 부류의 현상으로 한어와 동어를 동시에 잘 하는 부류, 넷째는 호남성 서남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본 민족어인 동어를 전혀 못하고 한어만 하는 부류 등이다.

 

a, 남부방언(南部 方言)

(1) 第一 土語; 귀주성 룽쟝 장루화(榕江 章魯話), 진핑 치밍화(錦屛 啓蒙話; 이 곳을 경계로 남북방언이 나누어 짐), 리핑 홍저우화(黎平 洪州話). 호남성(湖南省) 통따오 룽청(通道  城). 광서(廣西)자치구 룽성 핑덩화(龍勝 平等話), 산쟝 두동화(三江 獨話 또는 程陽話)

(2) 第二 土語; 귀주성 리핑 수이커우화(黎平 水口話), 총쟝 관동화(從江 貫洞話), 룽쟝 짜이하오화(榕江 寨蒿話). 광서자치구 산쟝 허리화(三江 和里話).

(3) 第三 土語; 귀주성 쩐위엔 빠오징화(鎭遠 報京話), 광서자치구 룽수이 짜이과이화(融水 寨壞話).

(4) 第四 土語; 광서자치구 룽수이 핀동화(融水 聘洞話).

* 일부 지역은 남북의 거리가 멀어 하나의 토어(土語)가 다른 지역의 토어로 분류해야 할 경우도  있다.

 

b, 북부방언(北部 方言)

(1) 第一 土語; 귀주성 티엔주 스동화(天柱 石洞話), 산수이 관창화(三穗 款場話), 지엔허 샤오광화(劍河 小廣話)

(2) 第二 土語; 귀주성 티엔주 주시화(天柱 注溪話), 호남성(湖南省) 신황 중짜이화(新晃 中寨話)

(3) 第三 土語; 귀주성 진핑 대동화(錦屛 大同話), 호남성 정쪼우 란니충화(靖州 爛泥衝話)

 

 

문 자

 문자가 문화의 교류와 발전에 커다란 역할을 하는 건 당연한 사실일진데, 문자 없이 구전으로 오랜 동안 계승되어 왔기에 애석하게도 단절된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다. 1956년 12월부터 다음해 2월말까지 14개 현 19개 지점 1차 조사를 마치고 1957년 9월 귀양에서 동족언어문자 과학토론회 준비회의를 열어 동족문자방안을 결정한 후 1958년 8월18일부터 23일까지 본격적인 토론회를 거쳐서, 북부방언은 각 지역 간의 어휘사이에 20%이상의 차이가 있으나 남부방언은 각 지역 간 방언사이에 불과 7%의 차이가 있고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인구가 1.6배나 많아 보편성을 최대한 감안한 결과, 동어(語)남부방언인 귀주성 룽쟝현(榕江縣) 차강화(車江話)를 표준음으로 라틴문자를 사용해 문자를 만들게 되었다. 룽쟝현(榕江縣) 차강화(車江話)와 북부의 각 방언지역간에 통하지 않는 비율이 22.3% 이고 호남성 신황현(新晃縣)의 동족과는 27.9%의 차이를 나타내는 실정이다. 1981년 이후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동어문 교사를 양성해 소위 쌍학(雙學)이라고 해 많은 지역에서 소학교를 필두로 한자와 겸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분포지역

(1) Cong jiang xian(從江縣); 六洞地區 낙향진(洛香鎭). 高增寨(1,718명). 洛香鄕. 剛邊壯族鄕, 宰河壯族鄕, 秀塘壯族鄕. 龍圖鄕, 小黃鄕. 增衝寨(鼓樓가 유명), 大榕洞, 高傳信地,

(2) Du shan xian(獨山縣); 基長區 塘梨鄕 黎羅村5個村(1,058명)

(3) Jian he xian(劍河縣); 소광동채(小廣 寨; 最大 族촌).  北部 區 大洋, 平珍, 번계(磻溪).  平cen, 高 , 南明鄕.  화오(化敖)小廣

(4) Jiang kou xian(江口縣); 怒溪鄕(523명)

(5) Jin ping xian(錦屛縣); 계몽진(啓蒙鎭) 勝利鄕등 48개村(2만여명) 파동(婆洞). 모평촌(茅坪村). 中潮鎭 佳所村.  銅關鄕銅關村, 銅關鄕述洞下寨(唯一의 獨柱鼓樓). 九寨 鄕. 九寨區平秋鎭石引

(6) Li ping xian(黎平縣); 地坪鄕 上寨, 下寨, 甘龍. 往洞鄕九洞. 洪州區德勝鄕特洞村. zhaoxing xiang(肇興鄕) 肇興寨, Jitang zhai(鼓樓가 유명), 誠格下寨村. 己流鄕 己流村. 東郞鄕東郞村. 巖洞區巖洞鄕竹坪村(2,000명). 조동(肇洞; 17,500여명), cen ba鄕. 潘老鄕, 古邦鄕. long e(龍額; 地坪風雨橋가 유명). 黃崗

(7) Rong jiang xian(榕江縣); 육백당촌(六伯塘村; 1,768명).  車江鄕, 忠誠鎭18個村(16,800여명).  채호만채(寨蒿晩寨), 七十二寨.   小黃村( 歌之鄕; 3,000명).  古州鎭 三寶.  塔石水族鄕(213명)

(8) San du shui zu(三都水族)自治縣;640명

(9) Tian zhu xian(天柱縣); 방동(邦洞), 람전(藍田), 주계(注溪).  고양진(高釀鎭; 10,747명).  高寨山區石洞鎭, 水洞, 黃橋, 都嶺. 天柱鄕, 注溪鄕, 石洞鎭 高渺鄕

(10) Yu ping xian(玉屛縣); 興隆鄕, 大龍鎭.  현지 한어(漢語)인 서남관화(西南官話)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하나 확인 필요

(11) Song tao xian(松桃縣); 8,074명, 長興區, 松江區, 世昌區

(12) Zhen yuan xian(鎭遠縣); 舞陽鎭,

(13) An long xian(安龍縣)

(14) Cen gong xian(岑鞏縣)

(15) Chang shun xian(長順縣)

(16) Dan zhai xian(丹寨縣)

(17) De jiang xian(德江縣)

(18) Gui ding xian(貴定縣)

(19) Jin sha xian(金沙縣)

(20) Kai li shi(凱里市)

(21) Luo dian xian(羅甸縣) 

(22) Ma jiang xian(麻江縣)

(23) Hui shui xian(惠水縣)

(24) Fu quan xian(福泉縣)

(25) Lei shan xian(雷山縣)

(26) Si nan xian(思南縣)

(27) Shi bing xian(施秉縣)

(28) Shi qian xian(石阡縣)

(29) Tong ren shi(銅仁市)

(30) Wan shan te qu(万山特區)

(31) Wu chuan Gelao zu Miao zu xian(務川   族 苗族 自治縣)

(32) Xi shui xian(習水縣)

(33) Xiu wen xian(修文縣)

(34) Yu qing xian(余慶縣)

 

생활풍속

; 산촌에서 자급자족으로 보통 3대가 함께 살며 철저히 가부장제의 가족체계가 형성되어, 혈연관계로 고루(鼓樓)중심인 고루사회의 최소단위를 이룬다. 물론 가장은 가정의 일을 처리하는데 가족의 의견을 존중하다.

a, 거주

; 대부분의 마을이 한가지 성(姓)씨로 한마을을 이루며 오(吳), 양(楊), 석(石), 양(梁)성이 가장 오래되었다. 심산유곡의 아름다운 풍광에 쌓여 있는 마을이 많아 물을 건너기 위해 풍우교가 있고 동네 입구에는 높이 1장(丈)정도의 정간식(井干式) 목조건축물인 “ 시엔(現; singl) ”이라고 부르는 채문(寨門)을 3백여호의 마을인 경우 대개 12개를 설치한다. 집은 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나무로 지으며 일부분은 조각루(弔脚樓)형식으로 남북방언지역이 구별된다. 북부는 많은 방을 두고 2층으로 지어 아래층에서 생활하며 2층은 침실과 양식창고로 사용한다. 문을 열고 들어오면 정면에 당옥이 있고 당옥 내벽에 선칸(神龕)을 설치하고 양쪽 방은 침실 또는 부엌으로 사용한다. 남부 역시 2,3층으로 짓는데 두 기둥을 1간으로 5내지 7간 정도 된다. 1층에는 땔 풀을 쌓아두고 짐승우리로 사용한다. 문을 열면 긴 복도가 있고 가운데에 당옥이 있으며 선칸(神龕)을 설치한다. 당옥의 양쪽은 부엌(火堂)으로 사용한다. 화당위에는 앙( ; ngangc)이라고 하는 사방이 4자되는 나무난간을 걸어 놓아 각종 농작물을 말린다.

b, 취락형태구분

(1) 산각하안형(山脚河岸型); 귀주성 총쟝현(從江縣) 高增, 小黃, 占里, 蘇洞, 리핑현(黎平縣) 자오싱(肇興; 3,100여명), 牙雙, 룽쟝현(榕江縣) 保里, 八吉, 광서(廣西)자치구 산쟝현(三江縣) 平巖, 호남성(湖南省) 통따오현(通道縣) 平坦河流域,

(2) 평패전원형(平 田園型); 귀주성 룽쟝현(榕江縣) 車江, 天柱縣 五家橋寨, 광서 산쟝현 롱저채(弄底寨), 룽성(龍勝)현 평등채(平等寨),  

(3) 반산애구형(半山隘口型); 귀주성 총쟝현(從江縣) 歸柳上寨, 龍圖, 貫洞, 리핑현(黎平縣) 牙雙향 천짜이이(岑寨), 룽쟝현(榕江縣) 八區 宰大, 美闡(chan), 쩐웬현(鎭遠縣) 報京寨(2,000명), 티엔주현(天柱縣) 雷寨, 漢寨, 社學, 巖寨, 章寨, 幇寨, 蘭田, 碧雅, 광서자치구 산쟝현 歸東, 光里, 村溪, 梅林, 룽성현(龍勝) 평안채(平安寨), 호남성 통따오현(通道縣) 平坦, 播陽,  

c, 복장

; 지역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노인과 중년남자는 깃이 달린 옷을 입고 여자는 머리를 쟁반같이 올리고 긴 바지를 입는다. 청조 말의 한족복장과 비슷하다.  

d, 음식

; 쌀을 주식으로 하지만 찹쌀음식을 좋아해 흰 찹쌀, 붉은 찹쌀, 검은 찹쌀 등 여러 종류의 찹쌀을 재배하고 목판함으로 찹쌀밥을 만들기도 하고 간식용으로도 다양하게 만들어 먹는다. 음료 또한 찹쌀을 주로 사용한다. 명절이나 경사에는 필히 찹쌀밥을 하고 제사에도 마찬가지이다. 기호식품인 유차(油茶)를 만들 때에도 찹쌀을 사용한다. 편미(扁米) 또한 동족 특유의 기호식품인데 가을에 80%정도 익은 찹쌀을 거두어 까부른 후 소량의 물을 넣고 불에 말리면서 주걱으로 계속 골고루 뒤집어 주어 80%정도 말랐을 때 식힌 후 여러 차례 방아에 가볍게 찧으면 껍질이 벗겨지고 남는 것이 편미(扁米)이다. 약한 불에 말리는데 색은 연하고 맛 또한 별미이다.

e, 전통명절

➀ 동년(年): 추수를 마쳐 모든 농사일을 마쳤을 때를 새로운 해의 시작으로 간주해 음력 11월을 신년으로 지내며 각 가정에서는 돼지를 잡는 등 축하한다. 한족과 왕래가 잦은 지역에서는 춘절(정월초하루)로 지낸다. 처음 이곳에 옮겨와 수렵생활을 하며 후에 땅을 개간해 수확을 거둔 조상을 기리며 제사한다. 용강현 72寨일대에서는 음력 10월말과 11월초에 신년경축활동을 하는데 이어서 11월말에는 “ 배년(陪年) ”으로 민족의 단결과 우의를 위해 마을마다 대단히 풍성하게 지낸다. 총쟝현(從江縣) 관동(貫洞)의 양(楊)씨 동족은 '양년(楊年)'이라고 부르면서 음력 11월 초삼일 온 가족이 귀가해 벗들을 청해서 물고기로 잔치를 벌리며 조상에 제사를 지낸다. 진핑현(錦屛縣)의 언동(彦洞), 요백(瑤白)과 지엔허현(劍河縣)의 소광(小廣)일대에서는 음력 11월말에서 12월초까지 찹쌀떡을 하고 감주를 담고 돼지를 잡는 등 새해 맞이를 경축하는데 어른에게 세배하고 서로 선물을 나누기도 한다.  

➁ 츠상사(吃相思): ' 위객(爲客)'이라고도 하는데, 즉 손님을 위하는 날이라는 뜻으로 마을에서 우의를 나누기 위한 사교활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정월, 2월 또는 가을에 남녀노소가 함께 즐기는데 젊은이들은 무리를 지어 다른 마을에 손님이 되어서 가 노래를 부르고 연극을 하며 소싸움(鬪牛)을 시키는등 단체사교활동을 벌인다.

➂ 단오절(端午節): 진핑현(錦屛縣) 규엽채(圭葉寨)의 풍속은 특별한데 종자( 子- 찹쌀에 대추등을 넣어 댓잎이나 갈잎에 싸서 쪄 먹는 단오절 음식으로 원래는 초나라 굴원(屈原)이 강에 투신해 죽은 것을 애도해 이 음식을 던져 물고기가 굴원의 시신을 해치지 말고 대신 먹도록 한데서 유래한 것)를 가장이 손을 대지 않고 익힌 다음 먼저 조상과 뱀신에게 풍년을 기구하며 제사한 후 먹는다.

➃ 츠신절(吃薪節):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나 음력 6월 또는 7월 묘(卯)또는 인(寅)일에 우물에서 새로 길어온 물에 찹쌀로 감주를 담고 물고기 요리만을 장만하고 소금을 섞지 않은 곡식과 채소를 준비해 새벽에 조상에게 제사지낸다. 소싸움을 벌리고 창(唱)등의 활동을 하는데 조상을 기리는 뜻이 있다.

➄ 호생절(芦笙節): 생산을 독려하고 수확을 기뻐하는 활동에서 비롯된 것이다. 리핑현(黎平縣)과 총쟝현(從江縣)의 경계지역인 사각우(四脚牛)지구, 즉 낙향(洛鄕), 기당(紀堂), 수구(水口), 대단(大 ), 자오싱(肇興), 고방(古邦)등에서는 음력 8월 15일 남녀모두 명절 때 입는 옷으로 정장하고 호생악대를 이루어 즐긴다.  

f,결혼

; 교통이 잘 소통되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과 차이가 있는데 일부일처제로 아직 원시사회의 연애, 혼인방식이 남아 있는 편이다. 비교적 자유롭게 교제하며 연애하는데 오랜 기간동안 여럿이 함께 교제하는 단계를 거쳐 둘씩 개별적으로 연애한다. '나한(羅漢)'이라 칭하는 총각과 '나면(羅面)'이라고 칭하는 처녀가 공개적으로 교제를 하고 가족에게 동의를 얻은 후 매일 저녁 어두워 질 무렵 여러 아가씨들이 당옥(堂屋)에 모여 수를 놓고 편직을 하며 총각들을 기다리면, 셋 내지는 다섯이 한 무리를 지어 등불을 밝혀 들고 비파를 키며 노래를 불러 자기마음에 드는 아가씨를 찾아가는데 비파소리를 듣고 창으로 내다보아 마음에 드는 총각이 있을 때에는 창 두개를 열어 들어오라는 표시를 한다. 때로는 문을 열지는 않고 둘이 대가(對歌; 둘이 주고받으며 하는 노래)를 한 후 노래도 마음에 들어야 문을 열어주고 들어오게 해 교제해 보아 의기투합하면 정표를 나누고 약정한다. 부모의 동의를 얻은 후 17, 8세에 비교적 간소하게 음력 9월에서 다음해 정월 안에 결혼식을 거행한다.

g, 장례

; 장례는 정상적으로 죽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구분해서 의식을 달리한다. 사람이 죽으면 곡을 하고 종이돈을 태우며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기고 옷을 입히는데 신랑, 신부가 혼례식 때 머리부터 발끝까지 착용했던 머리띠, 의복, 신발 등은 다시 사용하지 않고 모든 물품을 깨끗이 씻어 말려서 잘 보관했다가 죽을 때 본인에게 혼례식 때와 똑같이 입힌다. 죽은 사람의 허리에는 청, 남, 백, 홍, 화 오색실로 나이 수만큼 묶고 손에는 종이돈을 쥐어 주며 관 바닥에도 돈을 깔아 준다. 관을 신당 앞에 모셔두고 손님을 맞고 3내지 5일 후 매장한다. 매장 사흘 후 다시 묘토를 돌아보고 49일제를 지내며 청명절에 찾아가 묘를 돌보는 등 다른 민족들과 다를 바 없다. 비정상적으로 죽은 사람은 장례식도 치르지 않고 밖에서 염을 한 후 봉분도 없이 매장한다.  

 

종교 및 금기사항

; 원시모계사회의 영향으로 전설속의 최고권위의 영웅인 조상여신(女神), 'Sa(薩)'를 중심 한 조상 숭배 신앙이 매우 특별하다. 'Sa(薩)'는 신성의 대명사로 보편화되었고 무소 부재한 존재이다. 예전에는 각 가정마다 신위(神位)를 모셔 놓는 'Sa tang(薩堂)'이 있어 식사 전에 먼저 음식을 올려 공경했다. 'tang(堂)'은 대중집회의 장소이기도 하지만 사신(薩神)이 거주하는 곳을 뜻하기도 하고 큰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오늘날에는 많이 변했으나 청명에는 꼭 성묘했고 원시신앙형태인 점복술이 아직 남아 있다. 불교, 도교와 더불어 만물에 영이 있다고 믿어 뱀을 숭배하는등 토템사상이 아직도 남아 있다. 기독교는 1920년대에 미국 선교사 류후췬(劉富群), 딩후이밍(丁惠明)과 중국인 목사 임달영(林達榮)이 광서(廣西)에서 룽쟝현(榕江縣)으로 들어 와 전도해 룽쟝현의 황극부(黃克夫)가 광서오주(梧州)의 선도회(宣道會)성경학원에 가 학습하고 후에 목사가 되었다. 1938년에는 소도평(蘇道平)목사와 부인 소애련(蘇愛蓮)이 광서에서 룽쟝현에 와 평유(平油), 본리(本里), 악리(樂里), 양조(楊調)등 동족(族)지역에 예배당을 세워 전도해 100여명이 세례를 받으며 신자가 1,000여명에 이르렀고 교회는 빈민들 구제와 치료에 앞장서기도 했다. 리핑현(黎平縣)에는 독일 선교사 요우더카이(尤德凱)가 들어 와서 전도했다. 금기사항들은 정월 초하루에 철그릇을 들지 않고 정초에는 먼 곳에 출입을 삼가하고 봄에 벼락이 떨어진 날에는 산에 올라가거나 밭에 가지 않으며 결혼식후 처가에 가서는 함께 방을 쓰지 않는 등 다분히 미신적인 것으로 많이 사라져 가고 있다.

 

 

14. 瑤族(요족)

 인구 약 220만 명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광서 두안요족자치현, 운남, 광동, 귀주 등이다.

 그들은 윈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 묘요어족 등 한자통용이다.

 요족은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산거민족이다.

 요족마을은 인심이 후하고 예절이 밝고 공손하다. 청춘남녀의 사교활동은 비교적 자유이며 요족의 결혼의식은 특별하다. 요족청년의 결혼은 풍부한 선물도 없고 여자는 남자에게 옷과 가구를 요구하지도 않는다.

 요족은 사냥을 즐기며 집을 나설 때는 사냥총을 들고 사냥개를 데리고 간다. 요족민은 인정미를 추구한다. 즉 친구정, 연인정, 부모정, 아들정 그리고 한집이 곤란을 당하면 백집이 도와주는 이웃사이의 정도 있다.

 요족은 특히 노인을 공경한다. 요족은 자기것이 아니면 안 가진다는 관념은 요족지구에서 볼 수 있는 고귀한 미풍양속이다.

 

 

15. 白族(백족 = 바이족)

인구분포

 약 148만 명이 살고 있으며, 그중 따리 바이(大理白族)족 자치주에 80%가 거주하고 있고, 나머지는 쿤밍(昆明), 리쟝(麗江), 누쟝(怒江), 원샨(文山), 띠칭(迪慶), 츄숑(楚雄)등 윈난성의 서북쪽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쓰촨성(四川省), 꾸이조우성(貴州省), 후난성(湖南省) 등지에도 거주하고 있다.

 

역 사

 바이(白)은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에 가장 오래된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갖고 있는 민족 중의 하나이다. 전국(戰國)시대에 초(楚)나라의 군사들이 운남지역으로 들어와서 교통이 편리하고 자연 환경이 좋은 곳에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본래 있던 민족들과 통혼을 했다. 한(漢)나라 시대에도 윈난(云南)으로 군사를 파견했는데, 이때 많은 수가 윈난에 머무르게 되었고, 또한 전쟁을 피해서 도망 온 사람들도 있었다.

 이 사람들이 전국시대에 이주해 왔던 사람들과 함께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쏘우(sou)인'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 '쏘우'중에서 일부분이 나중에 변화의 과정에서 白族의 선조가 되는 '바이만(白蠻)'을 형성했다. 8세기 중엽에는 남조국(南詔國;nan zhao guo)이 따리 얼하이(大理Er海)지역을 통일하였고, 따리국(大理國)을 거치는 500년의 통치가 있은 후 점차적으로 한 언어와 풍속을 지닌 안정된 민족공동체가 되어 가면서 '바이런(白人)'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하나의 독립된 민족이 되었다.

 

전통복장

 흰색은 바이족이 특히 좋아하여 전통복장의 의복 색상으로도 흔하게 쓰인다. 얼하이(耳海)의 주변이나 동쪽의 젊은 여자는 머리를 길게 길러서 하나로 땋은 다음 빠오토우(包頭)를 한바퀴 두른다. 상의는 소매가 짧은 흰색 옷을 입고, 검은 색 옷깃이 있는 겉옷을 입는다. 화려하게 수놓은 앞치마를 하고, 하의는 바지를 입는데, 대부분 바짓가랑이에 흰색, 옅은 녹색, 남색 등의 천으로 둘러 장식을 한다. 신발은 꽃으로 수놓은 뾰족한 신을 신는다. 얼하이(耳海) 서쪽지역의 여자들은 머리를 틀어 올려 은장식품을 꽂고 검은 천으로 두른다. 상의는 앞이 짧고, 뒤가 길며, 목의 모양은 둥글고, 오른쪽 옷깃이 위로 가도록 된 옷을 입는다. 허리에는 허리띠를 두르는데, 양 앞섶에 그림이 있거나 꽃수를 놓은 색이 있는 긴 천을 이용한다. 바지는 비교적 짧고, 신발은 짚신을 신는다.

 

언어와 문자

 바이족은 고유언어를 가지고 있으나 이전에 가지고 있던 문자는 없어지고 지금은 한자(漢字)를 사용하고 있다. 대리에 거주하는 바이족은 95% 이상이 자신의 언어를 말할 줄 알며, 그들끼리 대화할 때는 바이족 언어로 얘기한다. 바이족 언어에는 북부, 중부, 남부 3개의 방언이 있다.

 

생 활

 농업기술이 발달한 바이족은 대리석 채굴과 공예품 생산, 목각제품 조각에도 뛰어나다. 얼하이(耳海- 따리(大理)지역에 있는 호수) 부근에서는 어업으로 생활한다. 따리고성(大理古城)을 돌아보고 얼하이(耳海)에서 배를 타고 여행을 하면서, 전통茶(三道茶)를 마시면서 바이족의 음악과 무용 등을 통해 그들의 문화와 전통복장을 볼 수 있다. 시죠우(喜州), 죠우쳥(周城), 그리고 샤핑(沙坪)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열리는 바이족 전통시장도 특색이 있다.

 

축 제

 바이족은 노래와 춤에 뛰어난데, 싼위에지에(三月街), 위탄후이(漁潭會) 때는 민족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절기이며 커다란 장이 서는데 예술, 체육활동 등과 함께 진행된다 훠바지에(火把節) 축제에는 여러 가지 민족 전통 놀이(소싸움, 양싸움, 활쏘기, 경마, 극놀이, 씨름, 그네뛰기 등)가 행해지고, 밤에 있는 횃불놀이가 장관을 이룬다.

 

주 택

 바이(白)족 고유의 건축양식은 독자적인데 구조나 장식하는 모든 면에서 한국의 전통가옥과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 대부분의 가옥은 목재를 사용한 건축물이며, 2층으로 되어있다. 중앙부분의 1층은 중앙에 손님을 접대하는 거실이고, 양쪽의 방은 침실이며, 2층은 대부분 작업실과 창고형태로 사용된다. 가옥은 평면으로 볼 때 ㄷ자형태로 되었다. ㄷ자의 양쪽부분은 주방과 창고, 짐승을 기르는 곳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들은 흰색을 무척 좋아한다. 그래서 옷도 흰색을 즐겨 입고, 가옥이나 담장도 하얀색으로 칠한다.

 

주요 거주지역과 교통편

o 따리(大理) 바이족지역

- 버스로 샤꽌(下關), 따리(大理)까지 가거나 기차편으로 따리(大理)까지 도착 (5-6시간 소요)

 

 

 

16. 하니(哈尼)

인구분포

 거의 대부분이 윈난성에 살고 있으며 약 170만 명에 이른다. 윈난성(云南省) 남부 일대인 홍허(紅河)자치주, 위시(玉溪), 시쐉반나(西雙版納)자치주, 쓰마오(思茅)등에 분포되어 살고 있다. 대부분이 산지(해발 800-2,000m)에 거주한다. 일부 소수지만 중국 이외에도 태국,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에도 분포한다.

 

역 사

 하니(哈尼)족은 오래된 역사를 지닌 민족으로 이족, 라후(拉祜)족, 나시족과 같이 치앙(羌)족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쓰촨(四川)성 일대에서 유목을 하던 이들은 당나라 초기에서부터 중원지역과 관계를 갖기 시작했으며, 7-8세기에 이동을 시작하여 10세기 중엽, 현재의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하니(哈尼)족은 지금까지 다른 민족을 지배하기보다는 지배를 받으며 살아왔는데, 청나라시절에 이족과 함께 反淸운동에 참여한 적이 있으나 실패로 끝났다.

 

언어와 문자

 이들은 3종류의 방언으로 구별되는 고유한 언어는 있지만 역사적으로 문자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1957년에 정부에서 라틴어 표기를 이용해서 만들어 준 문자가 있으나 대개는 자기들의 문자가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다

 

전통복장

 전통 복장에 있어서는 검정색과 푸른색이 주류를 이룬다. 남자는 주로 앞섶이 갈라진 상의에 긴 바지를 입고 검은색, 혹은 흰색의 두건을 두르며 부녀자들은 주로 옷깃이 없고 오른쪽에 섶이 있는 상의와 긴바지를 입으며 가슴에는 은으로 만든 장신구 달기를 좋아한다. 복장으로 미혼과 기혼을 구분하도록 되어 있는데, 쉽게는 머리에서 구분할 수 있다. 미혼일 경우는 머리를 길게 땋고, 기혼일 경우는 머리를 올린다. 또 바지의 길이로 구분하기도 하고, 허리에 두르는 띠의 색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생 활

 하니(哈尼)족의 특징 중의 하나는 이름을 짓는 방식이다. 할아버지의 이름의 끝자가 아버지의 이름의 첫 자가 되고 아버지의 이름의 끝자가 아들의 이름의 첫 자가 된다. 이런식으로 계속 이름을 이어가는 것을 부자연명제(父子連名制)라고 부른다. 이렇게 이름을 이어가는 것은 문자가 없는 상황에서 족보를 기억하는 방법이었고, 그 집에 속했다는 귀속의식을 강하게 하기 위함이다.

 

종 교

 하니(哈尼)족은 만물이 다 영이 있다는 원시종교를 갖고 있다. 지금도 대부분의 하니족이 조상숭배와 다신을 섬기며 "뻬이마(貝馬)"와 "니마(尼馬)"로 불리는 두 종류의 박수가 있다. 뻬이마(貝馬)는 남자로서 경전을 읽고 악귀를 쫓아내며 혼을 떠나 보내는 등의 비교적 큰 종교활동을 주관한다. 니마(尼馬)는 남녀 모두 있으며 사람들에게 길흉을 점쳐주고 무술과 약초를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는 일을 주로 주관한다.

 

 

축 제

 스위에니엔(十月年)은 하니족의 신년축제라고 할 수 있다. 하니(哈尼)족의 역법(曆法)에 의하면 10월은 새해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절기를 지키는 시기는 음력 10월 12지로 계산해서 첫 번째 용의 날에 시작해서 원숭이의 날에 마친다.

 친척과 친구들을 방문하고 맞이하며,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키우치엔(秋千- 그네), 모치우(磨秋- 시이소오 같은 형식), 뚜이챵(對唱- 남녀가 팀을 나누어 하는 노래 시합), 춤, 씨름 등의 놀이를 한다.

 신미지에(新米節)는 새로운 곡식을 거두어들인 후에 지내는 축제인데 그 의미는 새로운 곡식과 쌀로 밥을 해 먹는다는 뜻이다. 신미지에(新米節)는 다른 절기에 비해 지키는 시기가 일정하지 않다. 하니족이 사는 지역이 해발의 차가 심해 수확의 시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新米節에는 밥을 한 시루 해놓고 제사를 지내는데, 이 시루 안에는 반드시 묵은 쌀을 아래에 놓고 위에는 햅쌀을 놓아서 밥을 지어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묵은 쌀이 떨어지기 전에 햅쌀을 거두어 들여 먹을 것이 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이며 또 내년에도 계속 여유있는 생활을 하게 되기를

 

 

주 택

 하니(哈尼)족은 주로 2층의 "투쟝팡(土掌房)"으로 집을 짓는다. 1층은 짐승을 기르거나 나무 등을 쌓아두는 창고용으로 쓰이며 2층에 침실과 주방 등이 있다. 이들은 지붕을 평면으로 만들어 곡식을 말리는 등 다용도로 사용한다. 시쐉빤나(西雙版納)와 란창(瀾滄)현 지역에 거주하는 하니족은 더운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대나무와 나무로 용꽈(擁戈)라고도 불리는 干欄을 지어 거주한다. 지붕을 나무로 만들고 위에는 짚 등으로 덮는다.

 

 

주요 거주지역과 교통편

o 홍허(紅河)자치주, 위시(玉溪), 시쐉반나(西雙版納)자치주

- 버스로 원하는 지역으로 직접 가거나, 꺼지우(個舊)까지 가서 이동 (10-15시간 소요)

 

 

17. 하사크(哈萨克)

 인구 약 120만 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신강 이리하사코자치주, 목대하사코자치주 등지이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하사코문자가 있다.

 하사코족은 유목민족이다. 초목에 따라 거주지를 옳긴다. 그들의 말타기, 양낚기, 처녀쫓기 등은 하사크족 특유의 문화오락활동이다.

 

 

18. 대(Dai)

 인구 약 110만 명으로 주요 분포 지역은 서쌍판나대족자치주와 덕홍 대족자치주이다.

 종교는 불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 장따이어지로 통용대문이 있다.

 대족은 시적인 민족이며 미를 사랑하고 미를 감상할 줄 안다.

 그들은 대대로 물을 따라 살아왔다.

 대족은 공작새를 좋아하며 공작새가 깃을 펴는 것을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생각한다.그들은 공작새의 춤을 본따서 다채로운 공작춤을 추기도 한다.

 대족은 선량하고 예절이 있으며 친구 사귀기를 좋아한다.또한 감정이 풍부하고 세심한 극히 이상적인 민족이다.

 대족의 건축은 단순하면서도 단조롭지 아니하고 색채는 화려하면서도 촌스럽지 않다. 참나무로 만든집, 절, 탑은 대족 특유의 건축양식이다.

 

 

19. 리족(黎族 = Li)

》민족원류

  역사상 시대를 따라 달리 불렸는데, 주(周)대에는 '루어위에(駱越)', 진(秦)대에는 '시오우(西歐)', 한(漢)대에는 '위에인(越人)', 서한(西漢)때에는 '루어위에(駱越)', 동한(東漢)때에는 '리(里), 만(蠻)', 수(隨)와 당(唐)대에는 '리(俚), 랴오(僚)', 청(淸)대에는 '쩐위에인(眞越人)'이라고 했다.

 

》언어 및 문자

 언어는 한장어계장동어족리어지(漢藏語系壯 語族黎語支)에 속하며 문자는 1956년 리족(黎族)의 58%가 사용하는 해남도(海南島)의 Ha( +孝)방언을 기초로 러동현(樂東縣)의 바오요우쩐(抱由鎭) 바오띵화(保定話; 羅活土語)를 표준음으로 정해 리문방안(黎文方案)을 마련해 보급하기 시작하고 1984년 9월 일부 수정해 현재에 이르렀다.

 

》분포지역

(1) Pu an xian(普安縣)

 

》생활풍속

 쌀을 주식으로 고구마, 카사버, 옥수수 등을 재배하며 대나무 통에 짓는 향미(香米)가 특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의상은 남자들은 이미 한족과 다름없으나 Dong fang현(東方縣) Mei fu li(美孚黎)계통과 Chang jiang현(昌江縣) wang xia xiang(王下鄕) Qi li(杞黎)계통의 여자들은 전통 복장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가옥은 Bu long(布隆)이라고 해 배(船)모양으로 짓는 집과 풀로 금자형(金字形)으로 짓는 집 등 두 종류가 있다. 미혼 청년들이 교제하는 장소로 사용하는 Bu long gui(布隆閨)가 있다.

 

》종교 및 신앙

 조상을 숭배해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못한다. 만물에 혼이 있다는 생각으로 자연을 숭배하고 가축을 팔더라도 털을 뽑아 와 울에 넣어 주고 혼을 달랜다. 원시사회의 종교형태로 토템 사상이 남아 있어 새, 청개구리, 고양이등을 씨족의 보호신 또는 조상으로 여기기도 하고 여자의 문신(文身) 도안에도 등장한다.

 

 

20. 이수(Lisu)

 인구 약 58만 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운남 노강이수족자치주이다.

 종교는 원시신앙과 기독교를 신봉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 이어지이며 이수문이 있다.

 이수족은 노래 잘 하고 춤을 잘 추어 가무의 왕국으로 불리운다. 그들은 사냥하기를 좋아한다. 결혼은 자유연애로 이루어지며 약탈혼인의 풍습도 있다.

 

 

21. 사(She)

 인구 65만 명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복건의 영덕, 절강의 창주, 금화 등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 묘요어족이며 한문을 통용한다.

 그들은 홍봉차, 무이차등의 특산차가 있다.

 혼인풍속은 비교적 자유적이다. 그들의 결혼의식은 간단하고 극히 소박하다.

 

 

22. 라고(Lagu)

 인구 42만 명로서 주요 거주지역은 운남 란창라고족자치주이다.

 종교는 불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이어지이며 라고문을 쓴다.

 라고민은 산거민족이며 범 잘 잡기로 이름났다.

 라고족은 흑색을 좋아하며 복장은 주로 검은 천으로 만들며 꽃천으로 도안과 꽃변을 두른다.

 라고족의 혼인은 자유연애로 이루어지며 배우자 선택기준은 일, 생김새, 노래와 춤을 추는 정도로 판단 선택한다.

 그들의 춤에는 공작춤, 범잡기춤, 풍수춤 등이 있다.

 

 

23. 와(Wa)

 인구 36만 명으로 주거주지는 운남서맹, 창원, 란창 등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를 신봉한다.

 언어는 남아어계, 맹고면어족이며 와문이 있다.

 옷장식을 선명하게 하고 부녀자는 치마를 주로 입는다

 남자는 긴바지를 즐겨 입는다.

 와족은 마음이 아름다우며 토지신을 숭상한다. 남녀는 자유연애를 하며 그들의 가정은 온정하고 남녀평등이다.

 

 

24. 水族(수족)

 인구 35만 명으로 귀주성 삼도수족자치현, 여파독산등지이다.

 종교는 소수인이 기독교를 신봉하며

 언어는 한장어계, 장동어족이며 한자를 통용한다.

 수족지향은 동고왕국으로 불리운다. 동고는 수족의 제일 신성하고 아름다운 상징이다.

 수족의 복장은 남, 백, 청 3색이 위주이며 홍색 황색등 화려한 색을 꺼린다. 혼인은 자유혼이다.

 

 

25. 東鄕族(동향족)

 인구 38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감숙 동향자치현, 강락현등이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알타이어, 몽고어족, 동향어이며 한문통용이다.

 동향족의 복장은 회족, 한족, 만족의 특점을 본땄다.

 부녀자의 옷차림은 화려하고 빨간색과 수화를 좋아한다. 동향족의 남자는 평범한 모자를 쓴다. 그리고 짧은 머리에 수염을 기른다.

 동향족의 혼인은 부모가 결정하며 결혼전 남녀는 얼굴을 마주 할 수 없다.

 동향족의 문화는 풍부하고 다채롭다.

 

 

26. 나시족(納西族(납서족))

 인구 27만여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 여강납서족자치현이며 종교는 가톡릭과 라마교를 신봉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이며 납서문이 있다.

 나시민족은 보수적이며 우아하고 소박하다.

 나시족은 자유연애를 하며 그들이 거주하는 방은 나무로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3층으로 되어있다.

 나시족은 문화를 사랑하여 독서습작을 생활의 제1요소로 삼는다. 음악은 나시 전통문화의 산물이다.

 나시족은 회화를 좋아하며 동파화는 나시족의 대표적인 회화유산이다.

 

 

27. 土族(토족)

 인구 약 20만 명으로 주거주지는 청해토족자치현이다.

 종교는 라마교이며

 언어는 알타어계, 몽고어족이며 한문통용이다.

 토족의 혼인풍속은 독특한점이 있다. 그들은 음악을 좋아하며 복장은 오색찬란하다.

 

 

28. 키르키즈(Kirghiz)

 인구 약 15만 명으로 주거주지역은 신강 키르키즈자치현이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아타이어 이며 키르키즈문이 있다.

 그들은 설산을 숭배하며 키르키즈족이 쓰고 있는 전모는 설산을 상징한다. 복장은 유목민족의 독특함이있고 장식품을 달고 다니기를 좋아한다.

 그들의 체육활동은 주로 말을 타면서 하는 것이며 종류가 많고 상당히 재미가 있다.

 그들은 문학창작을 애호하며 그 중 민간시가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들의 민간예술도안이 풍부하고 다채로우며 주대상물은 고대악기, 산매, 파도, 구름 동물 등이다.

 

 

29. 창(Qiang)

 인구 약 20만 명으로 사천 무한창조차치현이 주거주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이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 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의 건축은 웅위롭고 풍부한 심미를 체현한다. 그들에게는 '跳沙朗, 跳莢甲, 跳皮鼓'등의 형식의 춤이 있다.

 

 

30. 달갈(Dawor)

 인구 약 13만 명으로 주거주지는 내몽고, 흑용강, 신강등지이다.

 종교는 샤마니즘, 다신교, 라마교이며

 언어는 알타이어족, 달갈족어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유구한 사냥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곰방대를 잘 만든다.

 그들의 문학활동은 상당히 왕성하며 주로 민간노래형식이다.

 

 

31. 경포(Jingpo)

 인구 12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원시신앙과 기독교를 신앙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 경포어이며 경포문이 있다.

 그들은 부지런하고 용감하며 노래와 춤도 즐긴다.

 경포족은 하루가 지난 밥은 먹지않는 습관이 있으며 새밥을 먹기전에는 먼저 개에게 주는 풍습이있다.

 단결은 경포족의 숭고한 사회미덕이며 거주집은 완전히 참나무로 만들었다.

 

 

32. 마로(Mulao)

 인구 약 16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귀주와 광서지역이다.

 그들은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중추절에 오리고기를 먹으면서 노인들로부터 비장하고 감동적인 전설을 듣는다.

 그들은 자유연애이나 결혼시는 부모의 명에 따른다.

 의반절은 그들의 성대한 명절이다.

 집회를 가지고 제사를 지내는 것외에 악단을 초청하여 북을 두드리고 쟁이를 울리며 노래하고 춤춘다.

 

 

33. 撤拉族(철납족)

 인구 약 9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청해와 감숙이다.

 그들의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주로 농사를 지으며 원예에 능통하다.

 혼례식에는 낙타극을 하는데 낙타는 그들의 길상물이다. 그들의 결혼식은 오후에 여자집에서 거행한다.

 

 

34. 布朗族(포랑족)

 인구 약 8만 5천 명으로서 운남을 주거주지로 한다.

 종교는 소승불교이며

 언어는 남아어계이며 그들의 문자는 없다.

 민족풍속은 원시적이고 소박하며 보수적이다.

 그들은 태양을 숭배하며 참나무쥐, 하마등을 신성시 여긴다.

 청춘남녀는 결혼하기전에 성년제를 지내는데 치아를 검게 색칠한다.

 그들은 일부일처제가 엄격하며 이름은 모자연명제와 부자연명제가 있다.

 

 

35. 錫伯族(석백족)

 인구 18만 명으로서 주로 신강, 길림, 요녕 등지에서 산다.

 종교는 원시종교 샤머니즘이며

 언어는 알타이어이며 한문 통용이다.

 조상에 제사를 지내는 것을 중시하며 종교의식은 그리 강하지 않다.

 그들은 노래를 잘 부르고 춤도 잘 추며 사냥을 좋아한다.

 

 

36. 고로(Golao)

 인구 약 44만 명으로서 주거지는 귀주, 광서지역이다.

 종교는 원시종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의 복장은 남자는 짧은 치마, 여자는 긴 치마를 입는다.

 결혼식은 소박하고 그들 특유의 전통적인 풍격이 있다. 기본적으로 중매, 약혼, 결혼의 3단계를 거쳐 주로 음력섣달에 많이 한다.

 그들에게는 명절이 많으며 조상을 숭배한다.

 

 

37. 毛南族(모남족)

 인구 약 7만 5천 명으로서 주로 광서지역에 거주한다.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 동수어지 등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의 수공예품이 우수하며 청춘남여의 귀중한 결혼선물이다.

 

 

38. 塔吉克族(탑길극족)

 인구 약 3만 5천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신강이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인도, 유럽계이며 위글문 통용이다.

 그들은 반유목민 생활을 하며 산매를 숭배한다.

 그들의 음악은 풍부한 선율과 화려하고 유창한 내용으로 되어있다.

 복장은 솜옷과 자켓이 위주이며 빨간색을 좋아한다.

 결혼식은 겨울에 주로 진행하며 그 기간은 3일동안 지속된다.

 그들의 생활은 소박하고 근면하다.

 

 

39. 普米族(보미족)

 인구 약 3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라마교를 신봉한다.

 언어는 한장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개를 좋아하여 때리지도 먹지도 아니한다. 그들의 집은 나무로 짓는다.

 그들의 혼인, 연애는 상당히 자유스럽다.

 

 

40. 怒族(노족)

 인구 약 3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샤머니즘, 천주교, 라마교등을 신앙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이며 문자는 없다.

 노족의 여자들은 주로 마로 만든 치마를 입는다.

 노족의 혼인에는 아직 원시적인 면이 남아 있다. 일부일처제의 씨족외 혼인을 엄격히 지킨다.

 

 

41. 阿昌族(아창족)

 인구 약 3만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소승불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 아창어지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검은 것을 아름다움으로 간주하며 결혼한 남자는 검은 천으로 머리를 두른다. 처녀들의 복장은 검은색이며 노인들은 일년내내 검은 옷을 입는다.

 그들은 또한 치아가 검은 것을 아름다움으로 여긴다. 그들은 자유연애를 추구한다. 무술을 즐기고 용맹하며 소박한 기질을 가지고 있다.

 

 

42. 鄂溫克族(악온극족)

 인구 약 27,00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내몽고 흑용강 등지이다.

 종교는 샤머니즘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목구문에서는 몽고문을 농촌에서는 한문통용으로 하고 있다.

 그들은 주로 목축업과 사냥에 종사하며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소수이다. 겨울철에 썰매는 주요한 교통수단이다. 그들은 유희를 좋아하며 엄격한 족외혼을 지킨다.

 

 

43. 乌孜别克族(우즈배크족, Uzbek)

 인구 약 15,000명으로서 우루무치, 카셔, 이닝등지가 주거주지이다.

 언어는 알타이어계에 속하며 우즈배크문이 있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꽃모자를 쓰기를 좋아하며 부녀자는 머리수건을 두르며 원피스를 입는다. 그들의 가옥은 벽돌과 나무로 지었으며 정원에 나무화초를 심는다.

 혼인은 자유연애이고 결혼은 본족내에서만 배우자를 정한다. 결혼식은 여자집에서 거행한다.

 

 

44. 德昻族(덕앙족)

 인구 약 16,00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 덕홍지역이다.

 종교는 소승불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남아어계이며 문자는 없다.

 그들은 소박하고 성실하며 노동을 중시한다.

 복장은 흑색의 옷을 많이 입으며 혼인은 자유혼이다.

 

 

45. 京族(경족)

 인구 약 19,000명으로 주거주지는 광서이다.

 종교는 소수인만 기독교를 믿는다.

 월남에서는 경족이 최대 민족임.

 언어는 남아시아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의 주업은 어업이며 밭농사도 조금 한다.

 그들은 자유연애를 한다.

 

 

46. 基諾族(기낙족)

 인구 약 18,000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운남지역이다.

 종교는 원시종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이다.

 이들은 귀구멍이 큰 것을 미로 간주하며 주건축 자재는 대나무이다.

 

 

47. 裕固族(유고족)

 인구 약 12,50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감숙이다.

 종교는 라마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유목을 위주로 살아가며 복장은 주로 가축의 가죽으로 한다.

 남자는 원형의 평모자를 쓴다.

 혼인은 비교적 자유이다. 결혼식은 2일간 노래속에서 진행되는데 첫날은 신부집 둘째날은 신랑집에서 한다.

 

 

48. 保安族(보안족)

 인구 약 12,50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감숙지역이다.

 종교는 이슬람교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풍부한 공예품이 있다.

 평상시에도 허리에 칼을 차고 다닌다.

 보안족은 주로 구두로 전해오는 구두문화가 있으며 형식은 전통적인 이야기체이다.

 그들은 보통 금요일에 결혼식을 올리며 길거리에서 치른다

 보안족의 남자는 평소 모자를 쓰며 새하얀 옷에 청보쪼끼를 입는다. 부녀자는 깃이 큰 옷에 큰 쪼끼를 입는다

 

 

49. 門巴族(문파족)

 인구 약 7,50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서장이다.

 그들은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족어계이며 장문통용이다.

 노래 잘 부르고 춤 잘추며 민간극이 풍부하다.

 수공업이 발달되어 생산품을 장족지역까지 판매를 한다.

 그들의 복장은 색채가 눈부시고 곡선이 아름답고 우아하다.

 

 

50. 獨龍族(독용족)

 인구 약 6천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 공산독용족자치현이다.

 원시적인 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의 장면어족에 속하며 그들 고유의 독용문을 가지고 있다.

 독용족의 풍습에는 아직도 윈시적인 특점을 지니고 있다.

 도갱화종의 원시적인 농업을 위주로 고기잡이, 채집, 사냥이 중요한 생산수단이다.

 족용족의 혼인제도는 원시적인 혼인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처자매 부부형제혼, 족내혼, 군혼 등도 있다.

 

 

51. 鄂倫春族(악륜촌족)

 인구 약 7천 명으로서 내몽고 흑룡강 등지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종교는 샤머니즘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악륜촌족은 임업과 수렵을 하며 부분적으로 농지를 경작한다.

 악륜촌족의 생활은 노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가옥은 원시적인 유동성풍막으로서 선인주로 불리운다.

 악륜촌족의 화피조각은 이민족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52. 塔塔尔(탑탑이)

 인구 약 5천 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신강의 우루무치, 이닝지역이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탑탑이문자가 있다. 그러나 지금은 위글문을 많이 사용한다.

 그들은 문화수준이 높고 노래와 춤에 능하다.

 자유연애를 하며 복장은 깨끗하고 청결하며 화려하다.

 탑탑이족의 이름은 본인명, 아버지명, 부락명등의 3개부분으로 나뉜다.

 

 

53. 我羅斯族(러시아족)

 인구 13,500명으로 주거주지역은 신강의 이닝, 우루무치등지에 살고 있다.

 종교는 동정교이며

 언어는 인구어계이며 러시아문을 통용한다.

 그들은 성격이 거칠고 유모적이며 민족자존심이 아주 강하다.

 노란색을 싫어하고 푸른색을 좋아한다.

 이들은 쇠고기를 즐겨 먹는다.

 러시아족 여성은 치마 입기를 좋아하며 귀걸이, 목걸이, 십자가를 편애한다. 부활절과 성탄절은 그들의 전통명절이다.

 

 

54. 珞巴族(낙파족)

 인구 약 2,50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서장지역이다.

 종교는 원시신앙이며

 한장어계이며 서장문자를 쓴다.

 낙파족은 사냥을 위주로하는 농사도 짓는다.

 힘과 용기는 이민족이 첫째로 갖추어야 할 소질이다.

 복장으로서 남자는 산양가죽을 걸치기를 좋아하며 들소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기도 한다.

 그들은 솔직하고 공정한 마음씨를 갖고 있다.

 

 

55. 高山族(고산족)

 인구 약 3천 명으로 주거주지는 복건지역이다.

 원시종교를 신앙하고

 언어는 인도네시아어족에 속하며 그들 고유의 문자는 없다.

 복장은 대체로 화려하다. 일반적으로 남성복에는 깃털모자, 뿔모자 또는 꽃모자가 하나 달려있고 여성복은 대부분 가디건식으로 되어있다.

 이민족의 조각과 자수예술은 아주 유명하다.

 사냥과 물고기잡이를 즐기는데 물고기를 잡을 때는 통나무배를 이용한다.

 가옥형태는 배모양으로 많이 되어있다.

 이민족은 노래 잘 부르고 춤 잘 추는 민족이다. 대표적인 악기는 풍금, 피리, 하모니카 등이다.

 

 

56. 赫哲族(혁철족)

 인구 약 4,30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흑용강, 동강등이다.

 종교는 샤머니즘이다.

 그들은 어업, 사냥, 농업등에 종사하며 지금까지 원시사회의 씨족조직을 보존하고 있다.

 물고기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소박한 생활을 한다.

 혁철족의 문화생활은 풍부하고 다채롭다.

 청춘남녀들은 연애시 음악으로 사랑을 주고받고 한다.

 

 

 

스타투어(Star Tour)

☎:(02)723-6360

http://www.startour.pe.kr

블로그 : 스타투어

E-mail: startour2@naver.com